
🧭 요약 이 글에서는 ‘진돗개’라는 명칭이 언제부터 사용되었는지를 사료를 통해 추적합니다. 진돗개는 진도 지역에서 자생한 토종견으로 알려져 있지만, ‘진돗개’라는 이름이 공식적으로 등장한 시점은 비교적 최근입니다. 글에서는 일본통치시대의 문헌과 해방 이후의 행정 문서를 검토하여, 해당 명칭이 어떻게 제도화되었고, 어떤 맥락에서 ‘민족견’으로 규정되었는지를 살펴봅니다. 특히 1962년의 ‘진돗개 보호령’과 그 이전의 사료들을 통해, 진돗개라는 이름이 단순한 지역 명칭을 넘어 국가적 상징으로 자리잡게 된 과정을 알아봅니다. 📚 주요 사료 및 문헌 - 1938년 조선총독부 문서 - 1962년 농림부 고시 제429호 (진돗개 보호령) - 기타 일본통치시대의 문화재 관련 문헌### 🔗 원문 보기 ..
카테고리 없음
2025. 8. 29. 04:19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사료 분석
- 교육 통치
- 충성심 내면화
- 국제 정세
- 조선 외교사
- 청일전쟁
- 자주 독립
- 기원절
- 상징 정치
- 일본통치시대
- 근대화 사상
- 진돗개
- 개화파
- 어진영
- 동아시아 질서
- 갑신정변
- 김옥균
- 한국 토종견
- 천장절
- 품종 등록
- 보호령
- 조선 근대사
- 민족견
- 국가의례
- 명칭 기원
- 일본 근대사
- 진도 지역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