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용례 :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 신채호

구한말과 일제강점기 한국의 역사학자 신채호의 말로 알려져 있다. 역사의식의 본질을 꿰뚫은 문장으로 꼽힌다. 이 격언이 사용된 예는 너무 많아 셀 수도 없다. 역사, 민족, 일제 같은 낱말에 연관 검색어처럼 따라다니며 신문기사와 방송, 책 제목에 두루두루 쓰였다. 특히 2010년과 2013년 두 차례의 축구 한일전에서 응원 현수막으로 등장해 대중적으로 각인됐다. 최근 일본제품 불매운동 집회에도 나왔고 지난 4월 피우진 전 보훈처장의 한국일보 기고문에도 쓰였다. 모두 신채호의 말로 인용되었다. 신채호의 며느리인 이덕남씨도 같은 문장을 ‘아버님의 말씀’으로 기억하고 있다.

2013년 7월 28일 동아시안컵 한일전 당시 걸린 플래카드

실상

신채호가 그런 말을 했다는 기록은 없다. 그가 옥중에서 집필한 <조선상고사>에 해당 문장이 나온다는 주장이 있으나 사실이 아니다. 총 12편으로 구성된 <조선상고사>에는 ‘민족’이라는 단어가 약 37차례 등장하는데 한번도 알려진 명언과 비슷한 맥락으로 쓰이지 않는다. <조선상고사>에 “역사를 잊은 민족은 미래가 없다”라는 말은 없지만 “역사를 잊은 민족은 재생할 수 없다”라는 문장이 있다는 설이 있으나 이 역시 틀린 주장이다. ‘재생’이라는 단어는 나오지 않는다.

다른 저작에서도 해당 문장은 확인되지 않는다. 대신 1908년에 쓰인 <독사신론> 서론의 두번째 문장이 유사한 의미로 읽힐 수 있다. “민족을 버리면 역사가 없을 것이며, 역사를 버리면 민족의 그 국가에 대한 관념이 크지 않을 것이니, 아아, 역사가의 책임이 그 또한 무거운 것이다” 다만 문장 구조에 차이가 크고 ‘미래가 없다’고 직접적으로 기술하고 있지는 않다.

명언의 뿌리에 대한 설은 분분하다. 해외에서는 “과거를 잊은 국가에 미래는 없다(A nation that forgets its past has no future)”라는 문장이 유명한데 대부분 윈스턴 처칠의 말로 알고 있다. 다만 이쪽도 정확한 출처는 물음표다. 국립 처칠 박물관에 수록된 처칠 연설문 아카이브에도 해당 문장은 나오지 않는다고 한다. 그 외에도 스페인 철학자 조지 산타야나 (“과거를 기억하지 못하는 이들은 과거를 반복하기 마련이다)”, 미국의 역사학자 겸 작가 데이비드 맥컬러프(“과거를 잊은 국가는 기억을 잃은 사람과 다를 바 없다”), 이집트의 언론인 겸 정치가 무함마드 후세인 헤이칼(“과거가 없는 자는 미래도 없다”) 등이 유사한 말을 남겼다는 주장이 있다.

이 가운데 출처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조지 산타야나 뿐이다. 산타야나의 문장은 그의 저서 <이성의 일대기: 인류 발전의 단계(The life of reason: Phases of human progress)>에 나와있다고 한다. 다만 어느 한쪽을 원조라 칭하긴 어렵다. ‘역사를 잊으면 미래도 없다’는 교훈은 특별한 것이 아니다. 당장 1983년 9월 20일 경향신문 기사만 보더라도 채문식 당시 국회의장은 “역사의 교훈에서 배울 줄 아는 민족이라야 밝은 미래가 보장되는 법”이라는 말을 별다른 인용 없이 하고 있다. 비슷한 용례는 이 밖에도 많다. 그렇다면 이 문장은 어쩌다 신채호의 말이 된 것일까.

2013년 5월에 방영된 무한도전 329회, 330회 방송분에 나온 자막

관련하여 흥미로운 가설이 있다. 한 블로그의 주장에 따르면 ‘역사를 잊은 민족은 미래가 없다’는 말을 신채호와 연결 지은 첫 사례는 다름 아닌 MBC의 예능 프로그램 ‘무한도전’이라고 한다. 무한도전은 2013년 5월 11일과 18일 2주에 걸쳐 한국사 특집 방송을 했다. 해당 방영분에서 제작진은 위 문장에 ‘단재 신채호’ 이름표를 단 자막을 각각 한번씩 두 번 내보냈다. 블로그 필자는 무한도전 방송 이전에는 이 발언을 신채호의 것으로 설명하는 글이 거의 없었다고 주장한다.

뉴스톱에서 위 주장을 검증해봤다. 무한도전 329회가 방영된 2013년 5월 11일을 기준으로 전후 기한을 나눠 네이버 뉴스 검색창에 나타나는 검색량과 내용의 차이를 비교했다. 검색어는 두 가지로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와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신채호’다. 전자는 이 문장에 대한 관심도와 쓰임 추이를 보기 위함이고 후자는 문장과 신채호를 연관 지은 기사들의 양을 보는 데 목적이 있다. 개인 블로그나 카페 게시글은 제외하고 공식적인 온라인 신문 기사를 대상으로 했다.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

무한도전 방영시점을 기준으로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검색어에 대한 네이버 뉴스 검색 결과 비교. 검색량이 44배 가량 뛰었다

.

우선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를 검색한 경우 무한도전 방영을 기점으로 검색량이 110건에서 4929건으로 뛴다. 약 44배가 늘었다. 더 중요한 것은 내용이다. 2013년 5월 11일 이전에 검색된 기사들은 대체로 이 문장을 신채호의 것이라 소개하지 않는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가 없다’는 말은 하나의 관용구처럼 쓰이고 있다.

무한도전 방영시점을 기준으로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신채호' 검색어에 대한 네이버 뉴스 검색 결과 비교. 검색어에 신채호를 추가했을 때 무한도전 이전 시점에서 검색되는 기사는 두 개뿐이다.

검색어에 신채호를 추가하면 차이는 더 두드러진다. 2013년 5월 11일 이전에 검색되는 기사는 두 건뿐이다. 그나마도 내용을 뜯어보면 글 안에 신채호가 같이 언급되기만 하고 그의 명언을 소개하는 서술은 없다. 무한도전 방영 직후에 작성된 기사들은 방송의 여흥을 전하면서 동시에 해당 문구를 신채호의 명언으로 소개한다. 이후 여러 칼럼과 기사 속에서 이 문장은 빠르게 신채호의 말로 굳어간다. 이러한 변화는 앞서 언급된 한일전 축구 응원 기사에서도 확인된다.

2010년 10월 12일 친선전과 2013년 7월 28일 동아시안컵 경기에서 우리나라 응원단은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는 대형 현수막을 걸었다. 무한도전 방영 전인 2010년 친선 경기 기사에서는 이 문구에 크게 주목하지도 않을 뿐더러 신채호의 말이라고 설명하지도 않는다. 반면 무한도전이 방영되고 약 두 달이 지난 시점에 치러진 동아시안컵 경기 기사에서는 이 문구를 신채호의 명언이라 소개한다.

당시 무한도전의 자막이 어떠한 경위로 만들어졌는지는 알 수 없다. 다만 공적인 미디어에서 ‘신채호의 명언’을 널리 알리는 데 무한도전이 효시 역할을 했다는 점은 확실해 보인다. 재미있는 점은 이후 2016년 12월 31일에 무한도전이 다시 한번 한국사를 주제로 방송을 하면서 이 때는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는 말을 윈스턴 처칠의 것으로 인용했다는 것이다. 2년여전 자막에 대한 정정은 없었다.

단재 신채호 선생은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는 말을 한 적이 없다. 그의 저작에 민족주의 성향이 가득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신채호를 민족주의 사학자로만 기억한다면 이는 그를 반만 아는 것이다. “역사는 아(我)와 비아(非我)의 투쟁”이라는 표현으로 압축되는 그의 초기 사관은 기실 약육강식 세계관에 따른 사회진화론, 즉 제국주의의 논리였다. 이문영 작가에 따르면 이에 회의한 신채호는 1920년대부터 무정부주의자로 변모하며 민족주의를 넘어서기 시작했다고 한다.

1928년 무정부주의 활동 중 일제에 체포된 신채호는 8년 뒤 감옥에서 사망한다. 무정부주의자로서 신채호의 저작이 많이 남겨지지 못한 배경이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는 말에는 되새겨 봄직한 보편적인 교훈이 깃들어 있다. 그러나 신채호 선생이 하지도 않은 말을 일종의 ‘트레이드마크’처럼 사용하는 것은 잘못된 일이다. 무엇보다 망자에 대한 예의가 아니다.

[댓글]

처칠이 1941년 윈체스터 성당 광장 대중연설에서 한말임

영어원문은 좀 다른말이긴 하지만 의역하면 저거랑 같다

1차 대전에서 독일이 전쟁일으킨거로 피해입은거를 잊으면 2차세계대전의 나치에게 점령 당해 미래가 없다는 뜻으로 말한거, 말한 이유는 청년들 참전 요구 및 독려다​

민족: 불과 백여년 전 일본인이 만든 일본말이라는게 함정. 그전까지는 조선에 민족이라는 단어는 없었음

항상 일본인이 만든 일본말인 민족 어쩌고 하면서 반일하는 조선인들의 개그는 항상 여러가지를 생각하게 하고 즐겁긴 한듯 ​

중국한테 매년 처녀수백명씩 조공하고 중공군 625때 쳐들어온건 생각조차 안함. 뒤를 보며 앞으로 걷겠다는 말과 똑같음 ​

조선의 역사를 잊고 아직까지 친중질 하는 놈들이 이끄는 나라에 무슨 미래가 있냐​

저 말 자체는 맞는 말인데 한국인들은 절대 못 깨닫더라.

중국과 북한이 한국인에게 자행한 반인륜범죄들은 모두 까맣게 잊었음. 심지어 그게 현재 진행형인데도.​

권력이 제멋대로 편집하고 조작한 과거의 노예인 거 자랑하는 전국노예자랑

과거는 지나가서 이젠 없는 시간이고, 인간에겐 오직 현재와 미래만 있을뿐인데, 정치권력이 국민 세뇌시켜 착취하려고 강조하는 과거사의 노예가 되어 족쇄를 스스로 차고 앉아있는 저능아들

윤미향 사태 보면서도 아직도 깨닫지 못하는 저능아들은 노예상태가 걍 행복하고 좋은 거지​

신채호는 저 말보다 더 멋있는 말

했는데, "역사는 아와 비아의 투쟁의 기록이다." 반일을 할거면 차라리 저 말이 더 와닿음

여기에서 제가 명언 한마디 하자면

 

"구라를 역사로 아는 민족은 답이 없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4/1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